주요 개인전
2022 이희돈 개인전, 삼원갤러리, 서울, 한국
인연 緣, 세상과 소통,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
인연 緣, 세상과 소통,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 서울, 한국
2020 뚫림과 엉큄, 귀한 인연, 갤러리 홍주, 강화도, 한국
2019 강화 스튜디오 오픈 기념전, 갤러리 홍주, 강화도, 한국
2014 귀한 인연, 한경 갤러리, 서울, 한국
개인전, 아카스페이스 갤러리, 서울, 한국
개인전, 세종갤러리, 고양, 한국
2012 개인전, 아람누리 갤러리, 고양, 한국
개인전, 아산병원 아산갤러리, 서울, 한국
2011 개인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울, 한국
2010 개인전, 서울 미술관, 서울, 한국
개인전, 북경 798, 북경, 중국
2009 개인전, 서산 갤러리, 충남, 한국
2007 개인전, 예일 화랑, 서울, 한국
2005 개인전, 예술의 전당, 의정부, 한국
2002 개인전, 조형갤러리, 서울, 한국
주요 단체전
2022 화랑미술제, 세텍, 서울, 한국
조형아트서울, 코엑스, 서울, 한국
싱가포르 아트페어, 싱가포르
2021 KIAF, 코엑스, 서울, 한국
대구아트페어, 대구, 한국
2018 부산국제아트페어, 벡스코, 부산, 한국
2017 부산국제아트페어, 벡스코, 부산, 한국
2016 부산국제아트페어, 벡스코, 부산, 한국
홍콩 아트페어, 홍콩
휴스턴 아트페어, 휴스턴, 미국
2015 부산국제아트페어, 벡스코, 부산, 한국
구상전 45주년-한국 회화제, 한가람 미술관, 서울, 한국
홍콩 아트페어, 홍콩
휴스턴 아트페어, 휴스턴, 미국
상해 아트페어, 상하이, 중국
첸나이쳄버 비엔날레, 인도
2014 부산국제아트페어, 벡스코, 부산, 한국
구상전 45주년-한국 회화제, 한가람 미술관, 서울, 한국
KIAF, 코엑스, 서울, 한국
한국현대미술회화제, 한국
휴스턴 아트페어, 휴스턴, 미국
상해 아트페어, 상하이, 중국
첸나이쳄버 비엔날레, 인도
가오슝 아트페어, 대만
홍콩 아트페어, 홍콩
ART BEIJING, 농협박물관, 베이징, 중국
2013 KIAF, 코엑스, 서울, 한국
부산국제아트페어, 벡스코, 부산, 한국
서울오픈아트페어 (SOAF), 서울
상해 아트페어, 상하이, 중국
첸나이쳄버 비엔날레, 인도
2012 코리아하우징-아트컬렉션전, 코엑스, 서울, 한국
대한민국 미술축전, 킨텍스, 서울, 한국
경남통영아트페어, 통영, 한국
대구아트페어, 엑스코, 대구, 한국
Affordable art fair Singapore, 싱가포르
CIGE 베이징 아트페어, 베이징 무역센터, 베이징, 중국
청도 아트페어, 청도미술관, 중국
2011 마니프 국제아트페어, 한국
당대 한.중 우수 미술작품전, 북경 798, 베이징, 중국
2010 마니프 국제아트페어, 한국
Gallery ann330, 부스 초대전
아트바젤, 스위스
주요 수상
제7회 행주미술대전 최우수상
2001년 제30회 구상전 특선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주요 작품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정부미술은행), 효원문화연수원, U.S.A골든칼라한국사업소,
국립현대미술관(미술은행) 신촌세브란스병원, 제일투자금융, 서울대학병원, 양평군립미술관,
국회의사당, 광주시립미술관 그 외 다수.
경력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역임, 행주미술대전 운영위원 및 심사위원역임,
구상전운영위 원 및 심사위원역임 대한민국미술대 전 초대작가 외 다수
Note
한국 현대미술의 태동을 함께하며 중추적 역할을 해온 한국 추상미술 1세대 조용익, 단색화의
주요 작가인 정창섭 등과 밀접한 교류를 통해 추상회화의 길로 선회했던 이희돈 작가는
‘단색화 2세대’ 중에서도 가장 발군의 활약을 이어온 작가 중 하나이다. 이희돈은 단색화 작업을
하는 작가로만 알려져 있으나 사실 그의 작업을 들여다보면 미학적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서구식 모노크롬 회화가 담을 수 없는 한국적인 미와 정조, 특유의 질감 표현 등이 ‘단색화’ 사조의
출발점이 되었다면 이희돈 작가의 작품은 여기에 작업 자체의 수행성에 목적을 두고 행위의
반복에 의한 ‘축적’을 통해 이루어가는 육화된 시간성과 탐색의 기록으로서 의미를 갖는 새로운
지점에 자리해있다. 특히 이희돈 작가의 작품에서 주목해야할 것은 한지의 원료인 ‘닥’이라는
한국적인 소재와 특허기법까지 받은 타공기법에 있다. 닥나무 한지를 물에 불려 만든 섬유질을
혼합해 만든 재료는 화면 위에 독특한 마티에르를 남기고 이 위에 한국 전통 오방색으로 덧칠해져 이희돈 특유의 한국적이면서도 세련된 모던한 미감으로 구현된다. 마치 거대한 우주적질서가
품은 생명력과 신비로움을 가졌다고 할 수있다. 더불어, 그의 작업에 있어서 중요하게 보아야
할 점은 그가 1990년대부터 천착해오며 <인연 因緣>시리즈를 만들어온 뿌리가 된
인연생기(因緣生起)의 세계관이다. 수많은 인연으로 짜여진 우리의 삶 속에서, 서로에게 빛과
생명을 주는 유기체로서의 복층적인 인간의 삶에 담긴 희로애락과 존재의 근원을 들여다보는듯한 거대한 우주적 생명력과 신비로움을 가졌다. 그렇기에 그는 그의 그림이 ‘무수한 공존을
일깨워주는 마음의 통로’로 읽히길 바란다.